본문 바로가기
육아건강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원인과 증상

by 두냐후514 2023. 4. 14.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란?

아동에게 주로 나타나는 장애로 주의력 부족으로 인한 산만함, 그리고 충동적이고

과한 행동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이를 방치할 경우 성장과정은 물론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남게 된다.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원인은?

1. 성장과정에서 부모의 지나친 비난과 자책에 노출된 아이들에게서 많이 증상이 발현되며

2. 가족력, 유전적인 영향으로 보는 시점도 있다. 

3. 임신중 약물이나 흡연, 음주로 인한 태야의 신경세포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과

4. 페인트나 납 등 오래된 건축물에서 나오는 환경적인 독소에 의한 영향

5. 화학적 인공 색소나 첨가물, 그리고 설탕등이 과잉 행동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증상

1. 자극에 대한 선택적인 집중이 어렵고 반복적인 지적에도 개선이 되지 않는다.

2. 한곳에 집중이 안되다보니 주위에서 작은 소리만 나도 시선이 가고

3. 글이나 시험을 볼때도 끝까지 집중해서 읽고 이해하지 못한다.

4. 오랜시간 집중이 힘들고 뛰거나 팔다리를 쉴세 없이 움직이는 증 갑작스러운 신체활동이 잦다.

5. 말이 많고 생각보다는 몸이 먼저 움직이며, 급하게 움직이려는 행동을 자제하기 힘들다.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치료와 주의점

주로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다. 지속적인 약물치료의 경우 집중력과 기억력, 학습능력이 확연히

좋아지며, 과잉행동과 충동성은 감소되고, 긍정적인 태도도 가지게 된다. 

 

약물치료와 더불어 주변 사람들의 도움도 필요하다.

주변인들이 증상에 대한 정확한 인지가 필요하며, 놀이치료, 사회성 그룹치료, 학습치료 등을

통해서 아이에 대한 맞춤 치료를 돕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보통 완치는 12~20세에 되어진다. 

 

ADHD 환자 아동들은 평소의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으로 부모나 주변인들로부터 많은 질타와

부정적인 얘기들을 듣게 된다. 따라사 스스로도 자기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인식하게 된다. 이는 자신감 하락과 주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모를 포함한 가족, 학교의  선생님등을 통해 지속적인 치료에 대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