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건강

어린이 감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잘못된 육아상식 #3 감기)

by 두냐후514 2023. 5. 4.

감기란 바이러스에 의한 코나 목을 포함한 호흡기 감염 질환으로 어린이들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등원, 단체 생활을 시작하면서 자주 걸립니다. 감기는 가장 흔한 질환이고 자연치유가 되지만 감염 중 치료에 관한 잘못된 정보들 또한 많이 접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자주 걸릴 수 있는 가장 흔한 질병인 감기에 대한 잘못된 상식에 대해 알아봅니다.

 

 

어린이 감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감기약은 약효가 세야 금방 낫는다

감기는 항생제를 강하게 복용한다고 해서 낫는 질환이 아닙니다. 감기약은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일 뿐이고, 사람이 복용할 수 있는 정량이 정해져 있습니다. 강하게 처방받는다고 해서 감기가 빨리 낫는 것이 아닌, 약의 효과 때문에 복용한 어린이만 힘들어질 뿐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 질환이기 때문에 치료약이란 없습니다.

 

 항생제는 감기에 특효약이다

항생제는 모든 감기를 치료하는 감기약이 아닙니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약이지 바이러스 감염질환인 감기를 치료하는 약이 아닙니다. 여러 중의 감기 중 항생제를 먹어 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의사의 진료를 받고 처방을 받아 복용을 해야 합니다. 진료 없이 복용한 항생제는 오히려 어린이 장기에 손상을 줄 수 도 있습니다.

감기약을 안 먹으면 면역력에 향상에 도움을 준다

아이가 감기에 걸려서 힘들어해도 약은 면역력 향상을 방해한다고 해서 안 먹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아이만 힘들게 할 뿐 면역력 향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소아과전문의는 안전함이 입증된 약만 처방합니다. 증상에 따라 처방을 받는 것이고, 오랜 기간 약을 복용한다고 해서 아이에게 해가 된다는 막연한 두려움은 갖지 않아도 됩니다. 증상이 약해 약을 안 먹일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한데도 약을 안 먹이면 아이만 힘들어질 뿐입니다.

 

감기가 낫으니 이젠 괜찮겠지?

감기는 똑같은 바이러스가 아닙니다. 수많은 종류의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저번주에 걸렸던 감기가 낫다고 해서 이번주에 걸리지 않는다는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심지어 감기 감염 중에 다른 감기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감기약은 치료약이 아닌 증상완화 약이기 때문에 약을 복용 중이 아이들의 체력이 감기로 인해 떨어져 있을 때 다른 종류의 감기가 호흡기로 침투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증상이 같아도 똑같은 감기는 아니며 치유의 시간도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감기 중에 목욕은 절대로 하면 안 된다

감기 중에 목욕은 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목욕할 때와 욕실 밖에서의 온도를 어느 정도 맞춰주어야 합니다. 감기 중 목욕은 해열의 방법 중 미지근한 수건으로 몸을 닦아줘 체온을 내려주는 방법과 같이 해열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목욕으로 인한 아이의 체력 소모와 욕실 안의 온도와 욕실 밖에 온도가 너무 급격하게 차이가 날 경우 체온을 잃기 쉬워 감기가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더러운 부분만 간단하게 씻은 후 욕실 안에서 물기를 닦아주고 옷을 입혀 체온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댓글